열도 지하철 클라스.jpg
익명 |
10-12 |
조회 수 27
난카이(南海) 전철 공항선(空港線) 급행에서 갑자기 "일본인 승객 여러분께 죄송합니다" 라는
차내 방송이 나왔다. 뭐지? 라고 생각했더니 "오늘은 다수의 가이진(外人, 외국인이라 하지
않고 가이진이라고 했다) 분들께서 타고 계서서 대단히 큰 폐를 끼치고 있습니다"
라니 정말로 영문을 모를 정도로 화가 났다.
>가이진(외인)은 외국인 비하의 의미가 있는 단어라고 함
-
공지
한번 읽어봐주세요 :D
2
-
- 손만 잡고 잘게
- 04-14
- 조회 수 37
2
- 손만 잡고 잘게
-
- 한국식 나이 폐지에 대한 찬반.jpg
- 10-12
- 조회 수 56
39
- 한국식 나이 폐지에 대한 찬반.jpg
-
- 연예인 성형수술도 한 간호조무사.jpg
- 10-12
- 조회 수 39
6
- 연예인 성형수술도 한 간호조무사.jpg
-
- 운동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gif
- 10-12
- 조회 수 19
- 운동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 이유.gif
-
- 말벌의 천적 벌매.gif
- 10-12
- 조회 수 54
8
- 말벌의 천적 벌매.gif
-
- 열도 지하철 클라스.jpg
- 10-12
- 조회 수 27
26
- 열도 지하철 클라스.jpg
-
- 이불 일광 건조 중인 아줌마.jpg
- 10-12
- 조회 수 63
9
- 이불 일광 건조 중인 아줌마.jpg
-
- 어느 고딩의 1년 동안 몸짱 만들기.jpg
- 10-12
- 조회 수 80
26
- 어느 고딩의 1년 동안 몸짱 만들기.jpg
-
- 장수말벌의 모든 것.jpg
- 10-12
- 조회 수 39
31
- 장수말벌의 모든 것.jpg
-
- 삼겹살의 위엄 in 성진국.jpg
- 10-12
- 조회 수 40
7
- 삼겹살의 위엄 in 성진국.jpg
-
- 마라톤 최강국의 비밀.jpg
- 10-11
- 조회 수 41
9
- 마라톤 최강국의 비밀.jpg
-
- 몸 좋은 남자를 본 후.jpg
- 10-11
- 조회 수 166
8
- 몸 좋은 남자를 본 후.jpg
-
- 시댁과 한바탕 했어요.jpg
- 10-11
- 조회 수 33
9
- 시댁과 한바탕 했어요.jpg
-
- 이래서 기러기 부부가 위험합니다.jpg
- 10-11
- 조회 수 47
7
- 이래서 기러기 부부가 위험합니다.jpg
-
- 학창시절 괴롭혔던 친구를 만났는데
- 10-10
- 조회 수 38
9
- 학창시절 괴롭혔던 친구를 만났는데
-
- 핵무기 폭발 장면 모음.gif
- 10-10
- 조회 수 26
- 핵무기 폭발 장면 모음.gif
-
- K리그 울산 vs 제주 역대급 골장면.gif
- 10-10
- 조회 수 24
7
- K리그 울산 vs 제주 역대급 골장면.gif
-
- 군대선임한테 욕먹은 아들 본 부모님.jpg
- 10-10
- 조회 수 49
9
- 군대선임한테 욕먹은 아들 본 부모님.jpg
-
- 약혼 파토 사유.jpg
- 10-10
- 조회 수 46
11
- 약혼 파토 사유.jpg
-
- 10년전 대한민국을 열받게 만들었던 사건.jpg
- 10-10
- 조회 수 47
8
- 10년전 대한민국을 열받게 만들었던 사건.jpg
존재한다. 아니다는 일본에서도 인터넷에서 갑론을박하는 내용입니다.
애초에 외인이란 표현을 오래 전에 쓰기 시작한 시점에 사용된 의미는 우리 무리가 아닌 외부자를
가리키며 구별하는 말이었기에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차별, 왕따등 부정적 의미랑 이어질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문제는 말이란 것이 그 의미가 계속 변한다는 것이죠. 한 예로 우리말 중에 "어리다"라는 표현은
나이가 어리다란 의미가 아니라 애초에는 어리석다, 현명치 못하다란 의미로 쓰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에 와선 어리다란 말을 굳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져서 쓰는 우리나라 사람은 적은 편이죠.
마찬가지로, 지금의 일본이라는 나라에서 살아가는 일본인들이나 외국인들 중에 외인이라는 말 자체를
그런 부류가 아닌 순수히 외국인의 준말 정도로 여기고 쓰는 사람도 많습니다.
여기서, 논란이 되는 부분은 말하는 사람 본인이 그럴 의도가 없고 실제로 요즘 그런 의미 없이 쓰는 사람들
많은데 외인이란 말을 듣고 기분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생각해서 굳이 바꾸어야 하느냐 란 목소리와
지금은 구별없이 쓰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도 차별적 의미로 빈번히 쓰였던
말이기도 했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심각하게 여기면 고쳐야 한다라는 목소리로 나뉘어져 있죠.
일단, 현재는 일본 방송에선 외인이란 표현에 신중히 쓰는 편이고 외국인이란 표현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인들 선에선 구별없이 쓰는 측과 구별해서 쓰는 측이 있고 어느쪽이 많고 어느쪽이 적은지는
모르겠네요.
늬앙스 상, 특정국가를 콕찝어서 이야기하는 말까진 아니고...
(예, 한국에선 중국인을 짱깨... 일본인을 쪽바리... 미국인을 양키, 양놈
일본에선.. 한국인을 춍.. 중국인을 챵코로...
중국에선.. 한국인을 가오리방쯔.. 일본인을 샤오리벤)
특정국가 지칭없이 그냥 우리와 수준안맞는 외국인이라는 의미로 쓰인 적도 있다고 보면 될 듯 하네요.
특히 예전에는 외국인 중에서도 서양인 대상으로 쓰인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제 생각은
한국인 입장에서 또는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 입장에서, 말하는 사람이 그럴 의도를 품지 않고 이야기하는
것이라면 굳이 클레임을 걸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위의 전차내 차내방송에서의 언급은 전체 차내방송 내용에서 차별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정적 늬앙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만약에 저런 표현을 듣게 된다면 항의할 것 같네요.
요약 :
1. 외인이란 표현자체의 시작은 부외자, 우리랑 함께가 아닌 남같은 부정적 의미에서 시작한 것은 사실.
2. 멀지 않은 예전에도 일본의 문화나 제도에서 겉돌고 눈치없는 외국인의 의미로 쓰였던 것도 사실.
3. 요즘에는 그냥 외국인의 줄임말로 외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정말 많음.
4. 외인, 외국인 단어자체보다 대화나 글의 전체흐름을 보고 판단해야 적절할 것 같음.
어쨌든 외국인들이 많아 일본인들에게 폐가 된다라는 말이므로
걍 대놓고 차별하는거 맞음.
(xx에 포함되지않는 고객들에게 xx때문에 죄송스럽다는 말인데...)
이 말 자체가 대단히 잘못된 거 아닌가요? xx 부분에 그 어떤 단어가 들어가더라도 이상하죠. 비하단어든 아니든 그게 중요한게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