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의 ‘국민 72% “전기요금 인상도 수용”’ 보도 내용을 두고 전문가들은 “설문지 설계가 잘못됐다”는 의견을 내놨다. 70문항 가까이 기후변화에 대한 의견을 묻던 중 느닷없이 ‘수용 가능한 전기 요금 인상 정도’에 대한 질문이 나왔기 때문이다. 또 ‘월 2만원 이상’에 해당하는 선택지가 없어 범위가 너무 좁다는 지적도 나왔다
KBS는 지난 2일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① 국민 72% “전기요금 인상도 수용”…여러분의 생각은?’라는 온라인 기사를 보도했다. 그리고 그 다음날 9시 뉴스에 ’10명 중 7명 “전기료 인상 수용”…"기후 대응은 경제에 도움"'이라는 방송용 리포트를 내보냈다. KBS와 그린피스가 공동 기획한 ‘기후위기 관련 시민 인식조사’의 결과를 설명해주는 내용이었다. “2030년까지 국내에서 퇴출을 완료해야 한다'는 응답이 36%로 가장 많았다” “석탄을 대체할 에너지원에 대해 국민 넷 중 한 명은 태양광을 꼽았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문제는 그중 제목으로 꼽힌 ‘국민 10명 중 7명 “전기료 인상 수용”’에 대한 설문 조사 과정이다. 보도에 따르면 전기요금 상승에 대해서는 “전기요금 인상을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이 19.7%, “수용할 수 있다”는 71.8%로 요금 상승을 감내하겠다는 답이 많았다.
전문가들은 KBS가 인터넷 기사 말미에 첨부한 설문결과표를 보고는 “설문 조사법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설문조사 원칙 중 하나는 각각 질문들이 최대한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친놈들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