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맞고 희소병..그만 살고싶다" 조기 전역 김일병 호소
입력 2021. 11. 25. 08:42
수정 2021. 11. 25. 09:09
https://news.v.daum.net/v/20211125084256087
김 일병은 지난 1월 건강한 모습으로 입대했다. 이후 강원도 육군 11사단에 배치돼 복무했는데, 6월 백신 접종 이후 자가면역성 뇌염이 왔다.
사실 김 일병이 백신 접종을 할 당시엔 건강 상태가 좋지 못했다. 그는 지난 4월과 6월 국군수도병원에서 발목의 철심 제거 수술과 척추신경 차단술을 받고 몸이 온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백신을 접종했다.
자가면역성 뇌염은 세균, 박테리아 등을 방어해야 하는 면역세포가 반대로 자기 몸의 뇌를 공격해 발생하는 극 희귀 질환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치료 기간이 최소 2~3년에서 평생 지속할 수도 있다.
김 일병은 자가면역성 뇌염 진단을 받은 후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불과 몇달 전까지는 매일 한 번씩1분 정도 정신을 잃고 쓰러지기를 반복했다. 원래 치료를 받던 국군수도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워 병원을 옮기기도 했다.
국군수도병원은 지난 9월 “김 일병이 심신장애 진단을 받아 군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육군본부는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있는데 이번주 말 전역이 결정돼 내달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문제는 멀쩡하던 젊은 청년이 군 생활 중 희소병에 걸려 제대를 하더라도 언제 또 갑자기 쓰러질지 모르고, 말까지 어눌해져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데 군에서는 아직도 구체적인 보상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김 일병은 “지금 다 포기하고 싶고 그만 살고 싶다. 진짜 힘들다. 제대하더라도 직장에 취직할 수 있을지 모르겠고, 일을 못 하게 되면 병원비도 어떻게 마련할지 막막하다. 보상금 이런 거는 다 필요 없고 보훈대상자만 됐으면 좋겠다”고 털어놨다.
그는 “군에서 지원방안을 마련한다더니 아무런 조치도 없이 전역시킨다. 믿음이 안 생긴다. 어제도 부모님이 울면서 건강하게 살자고 말하는데 마음이 너무 아팠지만 약한 모습 보여드리기 싫어 눈물을 참았다"며 "이제 20살인데 내 상황이 너무 슬프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군의무사령부 관계자는 “김 일병이 전역하더라도 규정에 따라 6개월 동안은 현역처럼 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후 보상심의와 국가보훈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보훈 대상 신청 등은 육본에서 심의해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심의해서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