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 액체 기체가 아닌 새로운 상태의 물질인
세계 최초의 위상 부도체(Topoconductor) 개발이라는데
위상 부도체, 위상 전도체는 이미 존재하는 개념이고
Topoconductor 이 단어 자체는 누가 오늘 창작했는지 검색해도 안나옴
Topoconductor에 해당하는 의미는 추측하기론
Topological insulator (위상 절연체) + superconductor 초전도체를 줄여서 위상 초전도체를 설명하려는 의미같음
논문의 목표는
InAs(위상 부도체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반도체)와 Ai(초전도체) 특성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만들고 위상 초전도체가 구현됐는지 확인해본다 인데
이게 구현된걸 확인하려면 위상 초전도체에서 나타나는 마요라나 제로모드라는 준입자를 확인해야됨
이건 여러 입자들이 집단적으로 하나의 입자처럼 보이는 현상 같은거임
일단
InAs-Al 하이브리드 시스템(강한 스핀궤도 상호작용과 초전도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나노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상 초전도체를 구현해봤음
구현이 된건지 확인하기 위해 마요라나 제로모드가 있는지 확인해야되는데 직접적인 확인은 무리라서
간접적으로 측정해보니 해당 준입자 특성을 가진 모델과 측정결과가 잘 부합된다는것을 확인함
간접적으로 확인한거라 다른 입자일수도 있음
요약
1
InAs-Al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현하여 위상 초전도체상태일때 존재하는 마요나라 제로모드라는 준입자를 확인해야됨
2
직접적으로는 못하고 간접적으로 확인해봤는데 측정결과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 다른 입자일수도 있음
3
결국 InAs-Al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위상 초전도 상태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실험적 증거를 제시한 셈이라 완벽하게 구현했다고 보기 어려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문이 저널에 기재된 이유는 평소 내가 글 올리듯이 새로운 기술에 대한 방향성 제시 및 기술개발 시작점이기 때문으로 추측중
기술요약
1
간접적인 증거이지만 InAs-Al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마요라나 제로 모드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제어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마요라나 제로 모드 기반 큐비트 구현 가능성을 보여줌
2
위상 양자 컴퓨팅 분야의 기술진전이 이루어짐
만약 준입자 검출을 명확하게 하고,
제어까지 완벽하게 하면 노벨상급 업적인데
준입자 검출은 간접적인 증거를 찾은거고
제어는 제한된 수준으로 하는정도라 좀 더 연구해야됨
기사에서도 그저 기술발전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