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용자 범위
이제 하청의 하청 노동자도 윗 회사(원청)에게 직접 따질 수 있게 됨
2. 노조 가입
해고된 사람도 노조 가입 가능, 배달 등 플랫폼에서 일하는 사람도 노조에 들어갈 수 있음
3. 쟁의 범위
회사가 공장을 옮기려 하거나 정리해고 해도 그 일 때문에 파업할 수 있음
4. 손해배상
노조 파업으로 회사가 망가져도 회사에서 노조에게 큰 돈 물리기 힘들어짐
1. 사용자 범위
이제 하청의 하청 노동자도 윗 회사(원청)에게 직접 따질 수 있게 됨
2. 노조 가입
해고된 사람도 노조 가입 가능, 배달 등 플랫폼에서 일하는 사람도 노조에 들어갈 수 있음
3. 쟁의 범위
회사가 공장을 옮기려 하거나 정리해고 해도 그 일 때문에 파업할 수 있음
4. 손해배상
노조 파업으로 회사가 망가져도 회사에서 노조에게 큰 돈 물리기 힘들어짐
첨부 '1' |
---|
현대 삼성 등 대기업은 하청-하청으로만가면 벤더가 몇천 몇만개사는 될건데 이제 1차벤더한테 하청에 하청은 못 주게 하겠네
미쳤다
1번은 필요한 내용이라고 보는데 나머지는 과도하네
현대 삼성 등 대기업은 하청-하청으로만가면 벤더가 몇천 몇만개사는 될건데 이제 1차벤더한테 하청에 하청은 못 주게 하겠네
뭐 잘못드셨어요!? 세상 미친 소리만 하셔셔요 ㄷㄷ
근데 해고가 개 빡세니까 하청 돌린거고
근데 이제 해고도 힘들고 하청도 힘들고 따블로 힘드네?
좋댔구만
4번 손해배상책임 부분에선... 이거때문에 파업을 더 길게 끌고가도 문제없는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