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도 적극적으로 육아에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은 확산됐지만, 현실은 이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직장문화가 뒷받침 해주지 못 하는 게 크다.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제도는 마련돼 있으나 무용지물인
상황이 곳곳에 펼쳐져 있다. 여성들의 ‘독박육아’가 사회적 차원에서 개선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2017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8~9명은
“남성도 육아와 가사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인식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 아내가 돌봄노동에 쏟는 시간은 남편보다 2~5배 많았다. 직장에서 퇴근해 가정으로 출근해야 하는
여성들의 고충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또 남녀 모두 법으로 보장된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을 당당하게
요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에서 일을 최우선으로?”…직장 분위기가 낳은 ‘독박육아’
이번 조사에서 ‘전통적인 고정관념을 바꿔 남성도 육아 및 가사에 참여해야 한다’에 82.4%가
‘그렇다’고 답했다. 하지만 ‘남성 육아휴직 제도에 대해 내용까지 잘 알고 있다’는 사람은 22.7%에 그쳤다.
‘들어는 봤지만 내용은 모른다’는 사람도 64.4%나 됐다.
여성이 육아를 도맡는 ‘독박육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남성도 육아를 함께 해야 한다는 인식이
주를 이뤘으나 실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551924
응~남자들은 직장일 퇴근하고 육아도 와이프랑 반반으로 똑같이 안하면 '성차별'이야.
..애를 앞치마로 쓸일있나 불똥튀는 후라이펜 앞에서 누가 저렇게 앞으로 애를 매 ㄷㄷ 사진 개 씹 주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