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COVID-19) 이후 가장 중요한 변수로 인플레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로 각국의 경제성장률이 줄줄이 하향 조정된 상황에서 쉽게 상상하긴 어렵겠지만, 전문가들은 이미 구조적 인플레이션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투자자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전통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패러다임에 맞는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각국 정부의 부양책과 중앙은행의 양적완화는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전방위에서 대규모로 일어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월 기준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0∼0.25%로 1%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했고,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인하해 사상 첫 '제로금리' 시대를 열었다.
중국은 21일 개최하는 최대 정치 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10조위안(약 1727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경기부양책(4조위안)보다 큰 역대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한 응급조치지만, 이면에는 인플레이션 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세계적인 통화이론 전문가인 찰스 굿하트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LSE) 교수는 "봉쇄가 해제되고 경기부양 패키지가 효과를 내면서 원자재 가격이 반등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2021년 5%를 넘어설 수 있고, 최대 10%에 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공급망의 붕괴도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헤지펀드 업계 거물 데이비드 아인혼 그린라이트캐피탈 창업주는 최근 투자자 서한을 통해 "시중에 풀린 자금만큼 (코로나19 영향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이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