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조회 수 586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의사들은 평생 아픈 사람들만 봐야 하니 얼마나 불행하냐?
매일 찡그린 얼굴만 대해야 하니 분명 삶이 행복하지 않을 거야.
그에 반해 교사는 파릇파릇한 학생들을 평생 대하면서 매일 미래에 대한 희망의 에너지로 충전이 되니 삶이 행복하지 않을 수 없지.”

중학교 때 한 선생님이 직업에 대한 이야기를 하시면서 말씀하신 내용인데요.
그때도 저는 의사가 되길 꿈꾸고 있었기에 선생님의 이야기가 남다르게 들렸더랬습니다.
잠시나마 꿈이 흔들렸던 기억이 나네요.
 
선생님의 말씀처럼 의사들은 늘 병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사람들을 대합니다.
이것이 의사 개인의 내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의사도 사람이니까요.
그래서 의사들은 마음에 일종의 타협을 합니다.
상대의 고통을 그다지 생생하게 느끼지 않도록 마음을 차단하는 것이죠.

이것은 의사들이 직업적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반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매번 환자들의 고통을 자신이나 가족의 고통처럼 생생하게 느낀다면 의사의 심장은 버텨내지 못할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환자들을 다소 냉정하게 대하는 듯 보이게 됩니다.
의사들이 환자의 고통을 잘 공감해주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듣곤 하는 데에는 이러한 이유도 작용하는 것이 아닐까 추정해봅니다.

사진_픽사베이

정신과 의사들은 어떨까요?
정신과 의사들은 환자를 사무적으로 덤덤하게 대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정신과 의사들만 환자를 인간적으로 대하는 훌륭한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은 아닙니다.
정신과 의사들이 잘나서가 아니라 정신과 일의 특수성 상 그렇게 되기가 어렵습니다.

대개의 타 진료과들은 일반적으로 이야기를 오래 하지 않습니다.
짧은 면담을 통해서라도 치료에 핵심적인 요소들만 빠르고 정확하게 짚어내는 것이 더 중요하니까요.
하지만 정신과 치료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면담을 통해 그 사람 인생의 전체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감정이입이 쉽게 되기 마련입니다.

물론 그러한 감정이입은 정신의학에서는 동정(sympathy)*이라고 표현되며, 환자의 치료에 좋지 않다고 배우긴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공감(empathy)*과 구별되게 그러한 감정을 잘 다루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제 역전이(countertransference)*가 작용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환자분들을 대할 때마다 많은 에너지 소모를 느끼곤 합니다.
하는 거라곤 앉아서 다른 사람 이야기 듣는 것이 다인데 왠지 모르게 저 자신이 굉장히 소모되고 있다고 느낍니다.
그냥 앉아서 이야기하는 게 뭐 그리 힘드냐고 할 수 있지만 하루 종일 상대의 힘든 이야기, 특히 우울, 불안, 자살생각, 분노, 원망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보면 퇴근시간 즈음에는 너무 지치면서 온몸의 기운이 다 빠지는 듯합니다.
 
종종 정신과 의사들은 어떻게 스트레스를 푸느냐는 질문을 받습니다.
정신과 의사라 해서 스트레스를 푸는 비법 같은 게 따로 있는 건 아니지만, 제가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스트레스는 부정적 에너지가 몸속에 축적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배출해주는 방법과 중화시켜 희석시키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배출하는 것은 우리 몸의 여러 구멍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제일 보편적인 것이 입을 통해서 배출하는 것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사람들과 대화를 통해서 푸는 것입니다.
사실 때론 스트레스 요인이 되는 사람에 대한 험담도 좋은 배출구가 됩니다.
화가 치밀어 오를 때는 소리를 지르게 되는 것도 이러한 원리라 할 수 있습니다.
감당이 안 될 정도의 부정적 에너지가 몸에서 느껴지면 이를 급하게 발산하기 위해 그런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죠.
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몸과 마음의 손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일종의 무의식적 응급조치라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고함을 치는 행동은 상대를 힘들게 하므로 이런 식의 합리화는 금물입니다.
그보다는 평소 운동을 하면서 기합소리를 크게 내거나 노래방에서 목청껏 크게 노래를 부르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겠죠.

눈을 통해서 눈물을 흘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힘든 일로 슬픔에 휩싸일 때 실컷 울고 나면 감정이 조금이나마 정화된다는 느낌을 받으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목 놓아 울고 나면 입과 눈을 통해 동시에 에너지가 배출되므로 다소 후련하다는 느낌을 받는 것입니다.

또 하나는 피부를 통해 땀을 배출하는 것입니다.
운동을 열심히 하다 보면 기분이 상쾌해지는 경험, 다들 해보셨을 겁니다.
정신과 의사들이 평소 운동을 권하는 게 괜한 소리가 아닙니다.

사진_픽사베이

두 번째는 긍정적 자극을 몸속으로 유입시켜 부정적 에너지를 중화시키는 방법인데요.
여행, 독서, 영화나 음악 감상, 공연이나 모임 참석, 종교 활동, 명상 등이 긍정적 자극의 좋은 예입니다. 맛집을 찾아 좋은 음식을 먹는 것도 좋은 자극이 들어오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많은 시대에 여행과 먹방이 유행인 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일상에서 쉼과 사색의 시간을 가지려 노력합니다.
물론 집에 가면 아이들이 저를 가만 놔두지 않지만 주어진 환경 안에서 가능한 한 '쉼'을 확보하려 하는 것이죠.
그래서 사실 저는 직장 외에서는 상담을 잘하지 않습니다.
가끔 개인적 친분이 있는 분들을 통해 따로 카페 같은 곳에서 상담 요청을 하시는 분이 계시지만 웬만하면 정중히 사양합니다.
업무 외 시간에 진료로 봉사활동을 하시는 주변의 의사들을 보면 존경스럽기도 하지만, 저는 전화로 문의를 하는 것도 가급적 피하는 편입니다.
심리적 내상에 늘 노출되어 있는 저로서는 그렇게나마 '쉼'을 확보하는 것이 자그마한 스트레스 해소법입니다.
또한 그것이 병원에 저를 직접 찾아오시는 분들께 최선을 다하기 위한 저 나름의 방법이기도 합니다.
제게 있어 VIP는 친분을 통해 쉽고 편하게 도움을 받으려는 분보다 일부러 제가 있는 병원에 직접 시간과 비용을 들여 찾아오시는 분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정신과 의사는 어떻게 스트레스를 해소하는지, 듣고 보니 시시하죠?
맞습니다. 정신과 의사라고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저 또한 틈틈이 좋아하는 운동하고 취미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찾고 쉼을 누리려 애쓰는 것 외에는 별 다른 것이 없습니다.
실망시켜드린 것 같아 죄송하지만 특별히 더 내세울 것이 없네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스트레스를 해소하시나요?
자신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는데 제 글이 자그마한 도움이라도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새로고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674 한국사 간단히 정리!(스압) 8 file 합정동김선생 2018.10.08 808
8673 10월부터 달라지는 정책들 4 file 정보갤김정보 2018.10.08 578
8672 집에서 간단히 할수있는 다양한 운동법 23 정보갤김정보 2018.10.08 681
8671 미국의 비만율 변화 19 정보갤김정보 2018.10.08 633
8670 (1440x2960) S9+ 초고화질 배경화면 8 정보갤김정보 2018.10.08 1080
8669 간단 레시피 모음 7 정보갤김정보 2018.10.08 657
8668 편의점 수입맥주 상품별 특징 분석 4 file 정보갤김정보 2018.10.08 595
8667 바뀐 도로교통법 몇가지 16 정보갤김정보 2018.10.08 483
8666 대패간장덮밥 만들기 7 정보갤김정보 2018.10.08 562
8665 쉽게 정리한 맥주 종류 7 file 정보갤김정보 2018.10.08 632
8664 수건으로 곰인형 만들기 10 정보갤김정보 2018.10.08 471
8663 찐 고구마 껍질 쉽게 까는 초간단 팁 5 정보갤김정보 2018.10.08 510
8662 카페인 최강음료 순위 6 file 정보갤김정보 2018.10.08 692
8661 주방, 욕실 청소 알짜배기 꿀팁 대공개! 가을 대청소 하자 48 정보갤김정보 2018.10.08 468
8660 치통이 엄청 아픈 이유 8 file 합정동김선생 2018.10.08 677
8659 술마실때 꿀팁 6 file 합정동김선생 2018.10.08 893
8658 고깃집 간장소스 레시피 4 file 합정동김선생 2018.10.08 618
8657 충무김밥 사먹지말고 만들어드세요 7 합정동김선생 2018.10.08 540
8656 과거를 미화하려는 심리.. 5 file 정보갤김정보 2018.10.08 566
8655 도쿄대 물리학자가 가르쳐주는 생각하는 법 3 정보갤김정보 2018.10.08 908
8654 우울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20가지 습관 4 정보갤김정보 2018.10.08 675
8653 2005년과 2018년 한국 50대 부자 순위 변화 6 file 정보갤김정보 2018.10.08 656
8652 사람들이 계속 물건을 사는 이유 7 file 합정동김선생 2018.10.08 637
8651 생각보다 편리한 기능이 많은 갤럭시 5 강서구김사장 2018.10.09 928
8650 [펌]타코야끼의 원조 3 강서구김사장 2018.10.09 5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7 Next
/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