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조회 수 903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최근 판매량 저조로 갤 20 시리즈 공시지원금이 

3사 평균 12만에서 40만 정도까지 올랐음

 

 

갤20을 20만원대에 샀다고 

싸게샀다고 좋아하는 사람들 많을거임

 

 

결론부터 말하면 그건 

불법보조금(징)이 같기 떄문에 

통신사의 조삼모사에 놀아난 것이며,

자급제로 산 사람보다도 비싸게 쓰는 거임

 

 

폰을 살 때는 24개월동안 기기값과 요금을 합한 총 금액을 비교하는게 좋음.

 

 

기초부터 설명해주면,

폰을 살 때 3가지 방법으로 삼

3대 통신사에서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 공시, 선약이라고 줄여부름, 그리고 [자급제]로 사는 방법임.

 

 

ex)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쓰고 싶다. 

 3대 통신사에서 S20 출고가가 120만이고 불법보조금(징)이 50, 공시가 40만, 쓸 요금제가 8만원짜리라 하면,

 

 

1. 공시로 사는 건 

"우리 통신사에서 2년만 쓴다고 약속해주시면 지원금 **만원 드릴게요."

"대신 중간에 해지하면 저희가 드린거 뱉어내셔야 해요" 

 

 

출고가 - 징 - 공시 = 120만 - 40만 - 50만 = 30만 = 할부원금이고, 

 

 

24개월 총 비용 = 30 + 8*24 = 222만

 

 

2. 선약으로 사는 건

"우리 통신사에서 2년 쓴다고 약속해주시면 기기값은 그대로 내셔도, 

 매월 25%씩 요금제에서 할인해드릴게요." 

"대신 중간에 해지하면 여태 할인해드린 만큼 뱉어내셔야 해요" 

 

 

출고가 - 징 = 120 - 50 = 70 = 할부원금이면서 

선약이니까 매월 2만씩 * 24개월 = 48만을 할인받으니

70만 - 48만 = 22만

 

 

24개월 총 비용 = 70 + (8-2)*24 = 214만

 

 

24개월 다 쓴다고 해버리면 공시로 산 것 보다 더 싸게 산 셈이 되는 거임.

공시가 48만보다 더 높으면 공시가 더 이득임.

 

 

3. 자급제로 가게 되면 

 120만에 기기를 사서 알뜰 통신사로 데이터 무제한 월 3만원씩 약정 없이 쓰는 거임 (리브는 2.2만까지 내려감)

약정이 없으니 언제 폰을 바꿔도 위약금이 안 나옴

자급제 폰을 할인받아 사는게 제일 편하고 무난한 방법임

 

 

24개월 총 비용 = 120 + 3*24 = 192만

(예시일뿐 실제와는 다소 차이 있음)

 

 

여기서 뭐 가족결합이니 기기값 안 내고 할부로 한다느니 미친 개같은 슈퍼체인지니 변수는 많은데

보통 4~6개월 뒤부터 요금제를 바꾸거나 6개월 뒤부턴 해지를 할 수 있으니 이 기본예시를 이해하고, 응용하면 된다.

 

 

5g로 폰을 사면 지금 KT만 추후 LTE로 요금제 변경이 가능함.

 

 

공시로 폰을 샀으면 몇개월 뒤에 요금제를 바꿀 수 있는지 확인하고,(그 전에 바꾸면 위약금 추가)

데이터가 무제한으로 필요하지 않는 사람은 바꾸는 것이 24개월 총 비용을 줄이는 방법임.

 

 

선약으로 산 사람은 요금제에서 25%할인되는 것이니 요금제를 바꾸면,

그만큼 할인받는 금액도 줄어든다는 건 숙지해야 함.

결국 24개월 총 비용을 계산해보면 답이 나옴.

 

 

그래서 저번주가 갤20 대란이다 라고는 하는데, 그전부터도 징(불법보조금)은 같았고

공시가 선약으로 받는 할인보다 높아지지 않았으며,

통신사나 대리점에서 판매점으로 불법보조금 정책 뿌리는 것도

다 수익 계산하고 하는 거니까,

공시 올라갔다고 좋아하면 그냥 조삼모사에 당한 원숭이 꼴인 거임.

 

 

그리고 불법 보조금을 높게 주면서까지 팔아도, 

판매점 입장에서나 박리다매일 뿐 

통신사 입장에서는 데이터 요금제 자체가 워낙 거품이라(알뜰통신사 무제한 가격만 봐도 거품을 알 수 있음)

계속해서 이득을 본다는거임.

 

 

아무것도 모르고 알 생각도 없으면 자급제 사는게 나음 

알뜰 통신사는 고객센터 어플이 조금 불편한 것 말고는 아무 차이도 없음.

 

 

여기까지 읽고 이해했으면 3번 자급제 구매보다도 싸게 가는 방법을 캐치한 사람도 있을 거임

 

 

4. 3대 통신사로 선약으로 사서 징 받고 6개월 후에 해지하는 거임

물론 이것도 개중 덜 호구일 뿐, 조삼모사 원숭이인건 똑같지만 이게 나름 최선임 

 

 

120만(출고가) - 50만(징) = 70만에 사서 6개월간 (8-2)만으로 사용 후,

위약금 12만(2만*6개월 선약 할인) 내고,

알뜰 통신사에서 3만원으로 계속 쓰는거임.

 

 

24개월 총 비용 = 70만(할부원금) + 36만[(8-2)*6개월] + 12만(위약금) + 54만(3*18개월) = 172만

 

 

 

24개월 총 비용 정리

1. 공시 222만

2. 선약 214만

3. 자급제 192만

4. 선약 후 자급제 172만

(쉬운 설명을 위한 예시일뿐 실제와는 다소 차이 있음)

 

똑같이 24개월간 무제한으로 썼는데도 50만원이 차이가 남

 

 

사실 위 방법 모두 할부원금 0원으로 처리한 것이라

나름 꽤 알아보고 간 사람들 끼리의 차이인 거고

소위 '호갱'들은 징(불법보조금)도 못챙겼으니 총 100만원 차이나는 꼴임

 

 

종사자가 아니니 뭐든 틀린 정보 있으면 지적해주면 감사하겠음

조삼모사에 당한다 하더라도 모르고 당하는 거 보단 알고 당하는 게 낫지

귀찮아도 한번 잘 읽어보고 그나마 똑똑한 소비를 했으면 함

 

 

 

 

 

 

 

 

요약 

 

1. 갤20 대란은 공시지원금이 높아졌을 뿐, 그냥 조삼모사 당한 것이다.

2. 폰을 살 때는 24개월간 내는 총 비용을 계산해라.

3. 출고가가 내리거나, 징(불법보조금)이 높아지는게 싸게 사는 것이다.

4. 4~6개월 뒤부터 요금제를 바꾸거나 6개월 뒤부턴 해지를 할 수 있으니 윗 예시를 보고 응용하면 된다.

5. 현재 3대통신사 중 KT만 5G에서 LTE로 요금제 변경이 된다.

6. 모르겠고 알 의지도 없으면 그냥 자급제 사라.


 댓글 새로고침
  • 초코마카롱 2020.05.15 00:03
    근본적으로 최신형 스마트폰이 본인에게 필요한지를 생각해봐야함
    결국 sns하고 검색하고 게임 깔짝 하는게 전부인데 작년에 나온 기종으로도 충분히 하고도 남음
    0 0
  • ㄴㅇㅇ 2020.05.15 00:15

    요즘 플래그쉽 성능 굳이 필요한가 싶긴함

    0 0
  • Mr.youn 2020.05.15 12:22

    그냥 갤7 써!!!!!!!!!!?!


    - 축하드립니다. 댓글 보너스 15점을 받으셨습니다.

    0 0
  • 이기뭐고잉 2020.05.15 23:16

    좋은정보감사합니다~

    0 0
  • 어둠속빛 2020.05.16 00:49
    그냥 맘에 드는폰이 출시되면 6개월~ 1년 지나고 가격떨어진 a급 중고 사서쓰는게 편해

    괜히 약정이니 요금제니 저딴거에 묶이지 말고

    그렇게 쓰다가 또 맘에드는폰 생기면 쓰던거 중고로 팔고 또 맘에드는거 사고 그게 속편함
    0 0
  • 게으른곰탱이 2020.05.16 10:38
    1번에서 8만원 요금제를 왜 2년 내내씀? 6개윌 뒤에 하위요금제로 바꿀수잇고 글쓴이 말대로 kt는 의무유지기간뒤에 본인lte폰있으면 요금제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lte로 바꿀수잇는데 계산이 잘못됫음 30+(8*6)+남은개월수*변경된 요금제 이게 맞지
    1 0
  • 루팡루팡팡 2020.05.23 13:26

    감사

    0 0
  • 함부르크 2020.05.29 13:04

    아 난 이미 바꿈

    0 0
  • zzin 2020.06.13 09:31

    .

    0 0
  • 흐뭇하게 2020.07.27 20:44

    0 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36 히말라야 소금... 사기극 1 정보갤김정보 2019.03.18 446
8435 흰옷얼룩제거 방법 4가지 3 file 꾸준함이진리 2022.02.26 178
8434 흰색 옷 얼룩 지우는 5가지 꿀팁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8.02 351
8433 흰 정액과 투명한 정액의 차이 2 file 재력이창의력 2024.01.30 1625
8432 흰 옷이 하얗다 못해 시퍼렇게 빨린 다는 세탁법 1 file 대단하다김짤 2022.10.24 429
8431 흰 달걀이 건강에 좋다는데...과연 그럴까? 1 대단하다김짤 2022.11.17 758
8430 희대의 극한직업. 타이슨 스파링 파트너 4 iopeck 2023.02.13 1350
8429 희귀한 20세기 사진들 7 file 대단하다김짤 2023.02.18 1497
8428 흡연자들 코로나19 감염 위험도 훨씬 크다 2 글좀써주면감사 2020.05.20 278
8427 흡연실 초미세먼지 수치 2 정보갤김정보 2019.03.07 446
8426 흡연과 꽈추의 상관관계 file 제로콜라중독 2023.04.16 142
8425 흠집이 난 토마토는 익혀 먹는 것이 좋다? 1 file 합정동김선생 2019.01.25 283
8424 흙탕물을 식수로 만들어주는 물정화제 사용법 file 꾸준함이진리 2022.11.29 337
8423 흙수저가 알려주는 가난에서 살아남기 3 정보갤김정보 2020.01.02 722
8422 흙수저 한달 10만원대로 챙겨먹는 식단.txt 9 예거마이스터 2020.04.21 757
8421 흔히먹는 음식물 KG당 가격.(자작) 젝콕에레모나 2019.12.31 537
8420 흔한 천조국의 스트레스 푸는 법 3 합정동김선생 2019.01.07 469
8419 흔한 조선의 스나이퍼 9 골로프킨복싱 2020.03.10 793
8418 흔한 식품들이 유발하는 의외의 부작용 file 신도시사나이 2023.02.25 106
8417 흔한 꽃이름 2 이미나에게로 2019.02.12 434
8416 흔한 기생충학 2 합정동김선생 2019.01.07 387
8415 흔한 국경선 정하기 1 정보갤김정보 2019.01.15 419
8414 흔한 9대 암의 초기 증상과 예방법은? 1 피부왕김선생 2022.10.21 588
8413 흔치 않은 친일파 2 합정동김선생 2019.01.07 453
8412 흑사병의 증상과 종류 정보갤김정보 2019.11.18 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38 Next
/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