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표는(일명 군번줄, 개목걸이)보통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있어 부식되지 않으며 쇠줄이나 끈 등으로 목에 걸도록 되어 있습니다.
군인이 전투 중 부상 당하거나 전사했을 시에 신분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게 되어있지요.
병사가 전투 중 전사하면 두 개의 인식표 중 하나는 전사한 병사 시신에 결속하거나
전투복 상의 오른쪽 주머니에 결속하고 하나는 전사 '신고용' 으로 사용 됩니다.
가끔 앞니 2개 사이에 박아넣는다는 말이 있는데, 공식적으로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인식표가 언제 처음 쓰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가장 오래된 군번줄은 고대로마군이 썼던 ‘시그나쿨룸’으로 봅니다.
로마군은 가죽으로 된 작은 띠로 된 인식표를 목에 걸고 다녔습니다. 이는 신분증으로도 사용되기도 했고 전사자 정보를 확인할 때도 썼습니다.
다만, 본격적인 군번줄로 보기엔 애매한게 일반 로마시민에게도 신분증용으로 사용되기도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시그나쿨룸]
현대적인 인식표는 미국 남북 전쟁 중에 등장했습니다.
그 이유는 당시 전쟁이 화력의 발전으로 인해 대량살상의 현장으로 바뀌었고 전사자의 58%가량만 겨우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이로인해 병사들은 개인적으로 본인수첩에 인적사항을 적어서 보관하여 자신이 죽더라도 신원이 밝혀지길 바라였고
이를 본 사업가들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하며 금속주화로 제작하였고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남북전쟁 시기 인식표]
1908년 미 육군에서 50센트 정도 크기의 인식표를 병사들에게 무상으로 지급하기 시작했고
이 원판에는 계급, 성명, 소속부대 등을 기재했으나 1918년 미국에 군번제도가 정식으로 채택되면서
이 원판에서 부대와 계급을 빼고 대신 군번을 박아넣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유는 진급과 보직 이동이 있을 때마다 바꿔야 했던 불편을 덜기 위해서였습니다.
[미군의 군번줄]
호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