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조회 수 347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https://www.kdi.re.kr/research/reportView?&pub_no=17228

 

2021년 KDI에서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혁신도시로의 공공기관 이전이 한창이었던 2014~2017년까지는 수도권으로부터의 인구유입이 많았으나, 2018년부터 수도권으로부터의 인구유입은 거의 없거나 오히려 유출되고 대부분의 인구유입이 인근 지자체로부터 진행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jpg

 

a3f4ebd6d1d7328e8da5428ac06f64ff.jpg

 


자료를 잘 살펴보면, 혁신도시로 인해 제조업과 지역서비스업(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자영업) 일자리 창출은 있었으나 지식기반산업 일자리 창출은 미약했음. 문제는 바로 여기서 발생하게 됨.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은 일자리는 지식기반산업인데, 정작 지식기반산업 일자리 창출은 미약하고 선호도가 낮은 제조업과 지역서비스업 일자리 창출만 늘어난 결과, 수도권 주민들은 혁신도시로 내려오지 않고, 제조업과 지역서비스업은 선호도가 낮다보니 대부분의 종사인력이 인근 주민들로 채워졌던 것이었음.

 

그리고 이것이 바로 혁신도시가 실패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가장 큰 원인임. 혁신도시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이전에서 그치지 않고, 궁극적으로 공공기관의 협력기업들까지 단체로 이전해오는 효과를 바랬기 때문임.

 

하지만 보통 대기업 근처에 붙어있는 협력업체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운송비 문제가 있는 제조업임. 그리고 거의 모든 공공기관들은 제조업과는 일절 상관없는 회사들임.

 

이렇게 되면 공공기관과 협력하던 업체들이 구태여 혁신도시로 내려갈 필요는 현저히 떨어지게 됨. 그리고 이런 류 협력업체 대다수는 공공기관만을 고객으로 삼는 경우도 많지 않고, 설사 그렇다고 해도 공공기관 입장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본인들이 직접 업체를 결정할 수 있는게 아니라 조달청을 통해서 입찰을 해야 하고, 그렇지가 않다고 해도 공공기관도 능력있는 업체를 원하다보니 이런 능력있는 업체들은 굳이 서울을 두고 혁신도시로 내려갈 이유가 전혀 없음.

 

6975b2ea184e111a909150db367e5ee6.png

 

물론 모든 혁신도시가 이러한 것은 아님. 분명히 부산, 전북, 강원처럼 지식기반산업 일자리가 유의미하게 늘어난 곳도 있기 때문임.

 

그런데 이 세 혁신도시를 잘 놓고 보면 전부 하나의 공통점을 갖고 있음. 부산은 기술보증기금,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의 금융공기업들이 다수 이전하였으며, 전북은 국민연금공단, 강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라는 금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업들이 이전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음.

 

금융업의 경우 그 특성상 출장이 매우 잦기 때문에 수많은 협력업체들이 이들 공공기관을 따라오거나 아니면 최소한 출장소라도 두고 있는 경우가 많음. 그 덕분에 이 세 혁신도시에서는 지식기반산업 일자리가 어느정도 늘어났음.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서 비대면회의가 크게 확대되었고, 비대면회의가 확대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출장소를 유지해야 할 요인은 희미해지게 될수밖에 없음.

 


소중한 댓글 부탁드립니다. 기준 추천수 이상이 되면 아이콘을 가지게 됩니다.

김짤닷컴에서는 도배 및 무성의 댓글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를 어길시 무통보 7일 차단이 됩니다.

 댓글 새로고침
  • audhdk 2022.10.10 23:59

    어렵지..

  • 김닷 2022.11.13 09:23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10 기타지식 다시 슬금슬금 지지율이 오르고 있는 트럼프.. 재력이창의력 2025.02.19 218
15109 기타지식 한국 재벌그룹에서 흔히 보이는것 재력이창의력 2025.02.19 264
15108 문명/역사 중국의 심각한 빈부격차와 중뽕에대한 중국인 따거의 일침 재력이창의력 2025.02.19 231
15107 문명/역사 어느날부터 자취를 감춰버린 '이 가게' 재력이창의력 2025.02.19 266
15106 기타지식 25년 1월 일본은 전체 인구 50% 이상이 50대 재력이창의력 2025.02.19 177
15105 미스테리/미재 트럼프: 젤렌스키는 러시아와 전쟁을 시작하지 말았어야 했다 재력이창의력 2025.02.19 195
15104 문명/역사 김좌진이 현지 조선인들에게 경멸당한 이유 재력이창의력 2025.02.19 214
15103 기타지식 싱글벙글 중국 현재상황 (유튜브 요약) feat.춘추전국시대 재력이창의력 2025.02.19 210
15102 문명/역사 조선시대 외교왕은 누구인가?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8 355
15101 자연/생물 조선시대 길냥이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8 311
15100 미스테리/미재 코브라 효과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8 371
15099 미스테리/미재 난 이 영상 99% 귀신이라 보는데.. 주작일 가능성 있음? 3 재력이창의력 2025.02.13 613
15098 자연/생물 국내 신종 각다귀 "단종대왕각다귀" 명명! 재력이창의력 2025.02.13 482
15097 기타지식 발등에 불 떨어진 유럽 재력이창의력 2025.02.13 539
15096 기타지식 국가별 우크라이나 지원 규모 정리 1 재력이창의력 2025.02.13 467
15095 사고/이슈 유산을 노린 장남의 살인극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3 417
15094 문명/역사 강간의 왕국이 탄생하게 된 이유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3 558
15093 일생/일화 우즈베키스탄의 전통 만두 삼사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94
15092 일생/일화 남극에서 일어난 칼부림 사건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502
15091 사고/이슈 72년 전, 한 남자가 쓴 출사표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502
15090 일생/일화 레드불 탄생비화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35
15089 일생/일화 연좌제가 존재하는 나라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61
15088 미스테리/미재 21년만에 해결한 미제 은행강도 사건 2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30
15087 문명/역사 조선의 장애인 대우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21
15086 기타지식 한국은행 보고서 - AI가 한국 경제에 끼칠 영향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05 Next
/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