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 대감이 왕권을 부정하였습니까? 삼봉 대감은 군주를 가리쳐 천명의 대행자이고,
종묘와 사직에 의지하여 돌아가는 것이며, 자손과 신하와 백성의 우러르는 존재라 하였습니다."
"그런 것을 빚 좋은 개살구라 부르는 것이옵니다. 만인의 우러름을 받을 뿐, 만인을 다스릴 권력이 없지 않사옵니까?"
"집이 크고 식구가 많은데 어찌 주인이 이를 다 감당하겠습니까? 솜씨 좋은 집사에게 맡겨두는 편이 낫습니다."
"주인이긴 한 것이옵니까? 삼봉은 심지어, 임금은 사사로운 재산도 가져서는 아니된다고 적고 있습니다."
"이미 천하의 토지와 백성이 임금의 것인데, 구태여 사사로이 그렇게 할 이유가 있습니까?"
"또한 삼봉은, 왕실 행사의 비용까지 조목조목 재상의 결재를 득해야 한다고 떠듭니다.
하, 이거 이래서야, 다달히 녹봉이나 타먹는 관리들과 다를 게 무엇이겠습니까?"
"군왕의 사치와 부패를 막기 위한 방도입니다. 군왕이 깨끗해지면 관리들, 나아가 백성들까지 다 깨끗해지는 것입니다."
"정녕, 고려가 어찌 망했는지 모르십니까?"
"어찌 망했습니까?"
"왕권이 미약했기 떄문입니다. 군주는 허수아비나 다름 없었고, 도당을 장악한 집정 대신들이 국정을 농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 이전에, 왕들이 덕망이 없었기 떄문입니다."
덕망이 없으니, 민심이 멀어지고 간악한 권신들이 그 틈을 파고든 것입니다. 허나, 조선에선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습니다."
"어찌 그리 확신하시옵니까?"
"삼봉 대감을, 믿으니까요."
"허, 삼봉이 아무리 마마를 국본에 세운 일등 공신이라지만, 이거 세뇌를 당해도 너무 당한 거 아닙니까?"
"정안군, 그 입 다물지 못하겠느냐?"
"정안군, 자중하시게."
"네 지금 예서, 세자가 되지 못한 분풀이를 하는 것이냐? 감히 중전과 세자 면전에서, 어찌 이런 참담한 언사를 내뱉을 수 있단 말이냐?"
"세자 마마와의 토론에 열중한 나머지, 흥분을 좀 한듯 싶습니다. 바라옵건데, 넓은 아량으로 용서해 주십시오."
"꼴도 보기 싫으니, 썩 물러가거라."
지금 저 장면은 이방원이 세자 이방석과 나누는 대화 같아 보이지만
실상은 삼봉 정도전의 사상과 갈등과 마찰을 빚고 격하게 부딪히고 있다고 보면 됨.
왕권 중심주의자, 왕권 지상주의자인 이방원의 입장에서 재상이 임금보다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삼봉 정도전의 사상은 결코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었음.
태종 이방원이 오로지 왕권 강화를 위해서 차마 사람이 못할 짓도 얼마든지 하며
왕권 강화를 위해서는 방해되는 것들은 모조리 다 치워버린 사람임을 감안하고 본다면
이방원이 정도전의 짜놓은 시스템과 정책을 따르고 수용할 수 있었어도 그의 사상만큼은 결코 받아들이지 못했을듯
결국 이방원과 정도전은 결코 함께 갈 수가 없는 사이였고 서로가 방해되는 존재였다는 얘기임.
이러면 어느 한쪽이 방해되는 다른 한 쪽을 치울 수 밖에 없는 일이었고.
이방원의 사상과 정도전의 사상이 함께할 수 없고 정면으로 부딪힐 수 밖에 없다면 어느 한 쪽은 죽어야 했음
총리가 통치하는 사실상 의원내각제를 추구했고
이방원은 왕이 직접 통치하는 현대로 치면 대통령 중심제를 추구하는 셈인데
국정농단하니 사실상 대통령이나 다름없던 최순실이 떠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