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조회 수 598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여기 알프레드 모저라는 사람이 있다.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그는 어느날 갑자기 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지붕에 구멍을 뚫어 페트병을 꽂아넣기 시작했다.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그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오늘 알아볼 것은 적정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

 

모저 램프 다.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모저램프는 정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에서

전기 조명을 대체하는 기술의 필요성으로 인해

개발된 적정 기술이다.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블로그)

 

이렇게 만들고 페트병의 3분의 1이 지붕 밖으로,

3분의 2는 집 내부로 들어오게 만들면 된다.

 

이렇게 되면 페트병 내부의 물이 햇볕을 모아 굴절시켜

집 안을 환하게 만들어준다는 원리.

 

(표백제는 녹조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이렇게 되면 무려 55W 전구의 밝기와 동일한 밝기를 내는

가장 값싼 전구가 완성된다.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이 프로젝트는

'전력 공급이 수월하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페트병으로 만든 모저 램프는 필리핀에서 처음 쓰였다.

 

2019년 기준으로는 필리핀의 12,000가구가

모저 램프의 불빛을 통해 집안을 밝히고 있다.

 

덕분에 불안정한 전력공급도 해결되었고,

모저램프를 설치한 가구는 월 6달러의 전기료를 아꼈다고...

 

 

 

밤에는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소규모 태양광 패널과 작은 전구를 안에 넣어서

낮에 충전한 전력으로 밤에도 집을 비출 수 있다고 한다.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페트병과 물, 표백제 만으로 세상을 밝힐 수 있다.

 

 

 

 

 

image.png 지붕에 구멍을 뚫고 페트병을 꽂는 이유는?
 

단순한 아이디어로 빛의 혜택을 받지 못하던 곳에

희망을 심어준 사나이, 알프레드 모저.

정말 대단한 사람이다.


소중한 댓글 부탁드립니다. 기준 추천수 이상이 되면 아이콘을 가지게 됩니다.

김짤닷컴에서는 도배 및 무성의 댓글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를 어길시 무통보 7일 차단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10 기타지식 다시 슬금슬금 지지율이 오르고 있는 트럼프.. 재력이창의력 2025.02.19 83
15109 기타지식 한국 재벌그룹에서 흔히 보이는것 재력이창의력 2025.02.19 106
15108 문명/역사 중국의 심각한 빈부격차와 중뽕에대한 중국인 따거의 일침 재력이창의력 2025.02.19 87
15107 문명/역사 어느날부터 자취를 감춰버린 '이 가게' 재력이창의력 2025.02.19 99
15106 기타지식 25년 1월 일본은 전체 인구 50% 이상이 50대 재력이창의력 2025.02.19 68
15105 미스테리/미재 트럼프: 젤렌스키는 러시아와 전쟁을 시작하지 말았어야 했다 재력이창의력 2025.02.19 78
15104 문명/역사 김좌진이 현지 조선인들에게 경멸당한 이유 재력이창의력 2025.02.19 82
15103 기타지식 싱글벙글 중국 현재상황 (유튜브 요약) feat.춘추전국시대 재력이창의력 2025.02.19 81
15102 문명/역사 조선시대 외교왕은 누구인가?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8 246
15101 자연/생물 조선시대 길냥이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8 203
15100 미스테리/미재 코브라 효과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8 261
15099 미스테리/미재 난 이 영상 99% 귀신이라 보는데.. 주작일 가능성 있음? 3 재력이창의력 2025.02.13 507
15098 자연/생물 국내 신종 각다귀 "단종대왕각다귀" 명명! 재력이창의력 2025.02.13 381
15097 기타지식 발등에 불 떨어진 유럽 재력이창의력 2025.02.13 430
15096 기타지식 국가별 우크라이나 지원 규모 정리 1 재력이창의력 2025.02.13 365
15095 사고/이슈 유산을 노린 장남의 살인극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3 321
15094 문명/역사 강간의 왕국이 탄생하게 된 이유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3 444
15093 일생/일화 우즈베키스탄의 전통 만두 삼사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03
15092 일생/일화 남극에서 일어난 칼부림 사건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11
15091 사고/이슈 72년 전, 한 남자가 쓴 출사표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405
15090 일생/일화 레드불 탄생비화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343
15089 일생/일화 연좌제가 존재하는 나라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368
15088 미스테리/미재 21년만에 해결한 미제 은행강도 사건 2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339
15087 문명/역사 조선의 장애인 대우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11 329
15086 기타지식 한국은행 보고서 - AI가 한국 경제에 끼칠 영향 재력이창의력 2025.02.11 3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05 Next
/ 605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