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우주/과학
2020.05.12 20:46

고화질 목성

조회 수 1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보이저 1호로 본 1979년 1월 31일 오전 3시 31분~1979년 2월 4일 오전 4시 27분(KST)의 목성.

 

목성이 와리가리 치는 건 보이저 1호의 카메라 가대(scan platform)의 지향이 달라져서 그럼.

 

 

보이저 2호로 본 1979년 5월 28일 오전 5시 34분~1979년 5월 30일 오전 7시 34분(KST)의 목성.

 

와리가리 치는 이유는 위와 동일함.

 

 

 

 

보이저 2호로 본 1979년 4월 26일~1979년 5월 24일(아마도 UTC)의 목성의 모습.

 

대기 운동을 부각시키려고 자전 효과는 빼버림.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로 본 2000년 11월 1일~2000년 11월 16일의 목성.

 

20160603_europa-over-jupiter.jpg 고화질 목성

유로파와 목성. 1979년 3월 3일 보이저 1호 촬영.

 

20150428_pioneer11npf1cf.jpg 고화질 목성

파이오니어 11호로 본 1974년 12월 15일의 목성.

 

 

 

뉴허라이즌스 호로 본 2007년 1월 9일~2007년 1월 10일의 목성.

 

20130802_b21final.png 고화질 목성

파이오니어 10호로 본 1973년 12월 5일의 목성과 이오.

 

VGER-40-JUPITER-BLOG__Figure_J.png 고화질 목성

가니메데와 목성. 1979년 7월 8일 보이저 2호 촬영.

 

VGER-40-JUPITER-BLOG__Figure_A.png 고화질 목성

목성과 칼리스토. 1979년 3월 3일 보이저 1호 촬영.

 

20180902_v2-jupiter-amalthea-cowart.png 고화질 목성

아말테아(사진 윗부분 목성 앞에 보이는 까만 점, 폭 250 km)와 목성. 1979년 7월 9일 보이저 2호 촬영.

 

20160829_io-jupiter-from-voyager-1-march-3-1979.png 고화질 목성

이오와 목성. 1979년 3월 3일 보이저 1호 촬영.

 

20140430_europa_rises_050107_01.jpg 고화질 목성

목성 뒤의 유로파. 2007년 3월 1일 뉴허라이즌스 호 촬영.

 

phobos_jupiter_mex_004-1-20110610-9463-SRCframe0031_H2.png 고화질 목성

 

화성에서 본 포보스(화성의 위성, 폭 25 km)와 목성(폭 14만 km).

 

bg_planetary-society_juno-jupiter-oval-pj7_uhd3840x2160.jpg 고화질 목성

북반구 폭풍. 2017년 7월 11일 주노 촬영.

 

20190522_snapshots_juno_pj18.png 고화질 목성

눈처럼 생긴 폭풍. 2019년 2월 12일 주노 촬영.

 

20180814_whirls-swirls.png 고화질 목성

12000km 상공에서 본 목성. 2018년 7월 16일 주노 촬영.

 

20180814_swirls-vortices.jpg 고화질 목성

좌측 상단에 태풍. 주노 촬영. 촬영 일자 불명. (perijove 14 기간)

 

20180814_jovian-coffee.jpg 고화질 목성

구름의 그림자도 보임. 주노 촬영. 촬영 일자 불명.(perijove 14 기간)

 

20170608_great-polar-spot2.png 고화질 목성

8901 km 상공에서 본 목성. 2017년 5월 19일 촬영.

 

20180423_juno-crescent-jupiter.jpg 고화질 목성

초승달 목성. 2018년 4월 1일 주노 촬영.

 

20180510_JUNOAP118MMDD.jpg 고화질 목성

목성 북반구. 2018년 4월 1일 주노 촬영.

 

20170725_jupiter-great-red-spot-juno-perijove-7.jpg 고화질 목성

대적점. 2017년 7월 11일 주노 촬영.

 

20160119_jupiter-backlit-jschmidt.png 고화질 목성

목성과 고리의 실루엣. 1979년 7월 10일 보이저 2호 촬영.

 


소중한 댓글 부탁드립니다. 기준 추천수 이상이 되면 아이콘을 가지게 됩니다.

김짤닷컴에서는 도배 및 무성의 댓글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를 어길시 무통보 7일 차단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5 우주/과학 (펌)확률과 통계는 누구에 의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 file 합정동김선생 2019.09.02 326
924 우주/과학 인질 구출을 위해 개조된 C-130 허큘러스 3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08 577
923 우주/과학 정밀가공 8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08 656
922 우주/과학 토성의 비밀 6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0 726
921 우주/과학 미국 미식축구장 포토존 4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1 444
920 우주/과학 인도 달 착륙선 탐사 근황 4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1 713
919 우주/과학 비행기 엔진 조립하기 3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1 719
918 우주/과학 천체들의 실제 모습 애드블럭싫어 2019.09.13 927
917 우주/과학 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보는 지구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4 312
916 우주/과학 식빵을 자르면 시간여행이 가능하다 5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6 732
915 우주/과학 선 없는 자유…'와이파이'넘어 '와이파워'로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8 303
914 우주/과학 고속 열차가 지나가는 모습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9 371
913 우주/과학 과학자들이 말하는 외계인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이유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9 473
912 우주/과학 50년대 원자폭탄 위력 시뮬레이션 모습 애드블럭싫어 2019.09.30 372
911 우주/과학 여름과 겨울의 일광 차이 4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1 308
910 우주/과학 스압) 미래의 인간은 우주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1 266
909 우주/과학 달표면에서의 우주인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1 281
908 우주/과학 [스압] 돌이 없어 석기시대가 끝난게 아니다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4 338
907 우주/과학 현재 운용중인 세계 인공위성의 수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5 347
906 우주/과학 20세기 과학혁명:폴디랙의 등장 그리고 반물질의 등장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124
905 우주/과학 20세기 과학혁명:리처드 파인만의 등장 그리고 QED이론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160
904 우주/과학 현재 건조되고 있는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우주선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497
903 우주/과학 핵 잠수함의 연비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536
902 우주/과학 달의 진짜 모습 3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13 485
901 우주/과학 NASA, "화성에서 고대 소금 오아시스 흔적 발견"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15 2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