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우주/과학
2020.07.16 12:31

세계 여러 분수계들

조회 수 28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image.png 세계 여러 분수계들.jpg
먼저 미국, 미시시피강의 크고 아름다운 유역....미국이 초강대국이 된 이유를 꼽으라면 뺄 수 없겠네요.

멕시코 국경 쪽에 있는 파란색은 리오그란데강, 노란색은 콜로라도 강입니다(그랜드 캐니언이 여기 있습니다.)

 

image.png 세계 여러 분수계들.jpg
좀 더 확대해서 본 북아메리카의 분수계입니다.

캐나다쪽의 연두색은 매켄지 강, 알래스카 쪽의 분홍색은 유콘강, 오대호 쪽의 보라색은 세인트로렌스 강입니다.

 

image.png 세계 여러 분수계들.jpg
그다음은 남아메리카입니다.

하늘색의 아마존강과 노란색의 우루과이강이 독보적이군요.

남아메리카는 서쪽에 안데스 산맥이 있어 대부분의 거대 하천은 동쪽으로 흐릅니다.

 

image.png 세계 여러 분수계들.jpg
아시아입니다.

중국에 주황색의 양쯔 강, 그 위에 작게 황하가 있네요. 만주쪽에 아무르 강과 색깔 차이가 거의 나지 않지만 그 위에는 레나 강이 있습니다

인도쪽에는 노란색의 갠지스 강, 군청색의 인더스 강이 있네요

동남아시아를 관통하는 메콩강, 중동의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도 눈에 띠네요.
 

image.png 세계 여러 분수계들.jpg
오스트레일리아 입니다.

호주 동쪽에 있는 머리 강 빼고는 모르겠습니다.

 

image.png 세계 여러 분수계들.jpg
유럽입니다. 거대한 다뉴브강(파란색)과 인지도에 비해 딱히 크지 않은 라인 강(연두색)과 센느 강(그 옆에 파란색)이 눈에 띠네요

러시아에 젖줄인 거대한 볼가강 유역(빨간색)도 눈에 띠네요

 

 

구글에 world river basin map라고 검색하시면 이와 같은 이미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추가)image.png 세계 여러 분수계들.jpg
색깔에 따라 어떤 대양으로 나가는 분수계인지 나타낸 지도입니다. 회색은 내륙수역이라 불리는 내륙으로 갈 수록 고도가 낮아지는 보울(bowl, 대접?)형태의 지형을 갖고 잇어 바다로 나가지 않습니다


소중한 댓글 부탁드립니다. 기준 추천수 이상이 되면 아이콘을 가지게 됩니다.

김짤닷컴에서는 도배 및 무성의 댓글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를 어길시 무통보 7일 차단이 됩니다.

 댓글 새로고침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5 우주/과학 (펌)확률과 통계는 누구에 의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 file 합정동김선생 2019.09.02 326
924 우주/과학 인질 구출을 위해 개조된 C-130 허큘러스 3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08 577
923 우주/과학 정밀가공 8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08 656
922 우주/과학 토성의 비밀 6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0 726
921 우주/과학 미국 미식축구장 포토존 4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1 444
920 우주/과학 인도 달 착륙선 탐사 근황 4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1 713
919 우주/과학 비행기 엔진 조립하기 3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11 720
918 우주/과학 천체들의 실제 모습 애드블럭싫어 2019.09.13 927
917 우주/과학 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보는 지구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4 312
916 우주/과학 식빵을 자르면 시간여행이 가능하다 5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6 732
915 우주/과학 선 없는 자유…'와이파이'넘어 '와이파워'로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8 304
914 우주/과학 고속 열차가 지나가는 모습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9 371
913 우주/과학 과학자들이 말하는 외계인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이유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09.29 473
912 우주/과학 50년대 원자폭탄 위력 시뮬레이션 모습 애드블럭싫어 2019.09.30 372
911 우주/과학 여름과 겨울의 일광 차이 4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1 309
910 우주/과학 스압) 미래의 인간은 우주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1 266
909 우주/과학 달표면에서의 우주인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1 281
908 우주/과학 [스압] 돌이 없어 석기시대가 끝난게 아니다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4 338
907 우주/과학 현재 운용중인 세계 인공위성의 수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5 348
906 우주/과학 20세기 과학혁명:폴디랙의 등장 그리고 반물질의 등장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124
905 우주/과학 20세기 과학혁명:리처드 파인만의 등장 그리고 QED이론 2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161
904 우주/과학 현재 건조되고 있는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우주선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497
903 우주/과학 핵 잠수함의 연비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08 536
902 우주/과학 달의 진짜 모습 3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13 485
901 우주/과학 NASA, "화성에서 고대 소금 오아시스 흔적 발견" 1 file 애드블럭싫어 2019.10.15 2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