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자연/생물
2025.02.08 00:59

아시아인의 뼈가 의외로 튼튼함

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골밀도는 뼈에서의 부피당 무기질의 질량으로, 골밀도가 높으면 뼈가 더 강하고 단단해서 부러질 확률이 낮다.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BF01623272

 

The lowest and highest quintiles of bone density had absolute fracture rates of 120 and 6 cases per 1000 patient-years, respectively.

 

골밀도 5분위의 최상단과 최하단은 20배의 골절률 차이가 난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306453002001294

 

다만 뼈의 강도에 있어 골밀도가 전부는 아닌데

 

대체로 골밀도 70% + 골질 30%의 비율로 골강도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여전히 중요하긴 하다.

 

 

https://pubmed.ncbi.nlm.nih.gov/12107201/

 

Most reports suggest that BMD is highest in African-Americans, lowest in Asians, and intermediate in Caucasians

 

이런 골밀도는 보통 흑인이 가장 높고, 백인이 중간, 아시아인이 가장 낮다.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914-023-00838-y

 

1000053038.png 아시아인의 뼈가 의외로 튼튼함
 

보다 세분화하면 흑인, 히스패닉, 백인, 아시안 순으로 골밀도가 크다.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98-010-1188-3

 

1000053037.jpg 아시아인의 뼈가 의외로 튼튼함
 

Additional adjustment for body size greatly attenuated or reversed the differences between US Caucasian men vs Asian men.

 

이런 차이는 보통 체구가 작아서 그런것으로 본다.

 

연령, 체중, 신장의 조정 후 골밀도는 흑인에서 여전히 컸지만 히스패닉과 아시안은 백인과 비슷하거나 더 큰 값을 보인다.

 

 

https://pubmed.ncbi.nlm.nih.gov/8511984/

 

in whom average bone mineral density in Asians actually exceeded (p < 0.04) that in whites.

 

연령, 체중, 신장의 조정으로 아시안의 골밀도는 백인보다 확실히 높은 경우도 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3-32776-1

 

1000053031.png 아시아인의 뼈가 의외로 튼튼함

1000053030.png 아시아인의 뼈가 의외로 튼튼함
 

 

골밀도를 기준으로 본다면 아시안은 낮은 골밀도로 인해 높은 골절률을 보이는게 맞다.

 

 

평균적으로 조정하지 않은 보통의 상태에서 볼때 골밀도가 큰 흑인은 백인 대비 골절 위험도가 54% 낮다.

 

히스패닉은 백인보다 골밀도가 크고 위험도가 34% 낮다.

 

그러나 아시안에서는 낮은 골밀도임에도 45%의 낮은 위험도를 보여 골절률이 낮다.

 

아메리카 인디언 역시 20% 낮은 골절률을 보인다.

 

골절률에서 아시안은 흑인에 이은 2번째로 낮은 골절률을 보인다.

 

백인이 뼈가 부러질 확률이 가장 높은 것.

 

 

 

https://pubmed.ncbi.nlm.nih.gov/26273521/

 

https://pubmed.ncbi.nlm.nih.gov/37542683/

 

그 이유로 작은 뼈 크기와 면적에도 두께가 두껍고 치밀하기 때문일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에 따르면 아시아인들은 골밀도가 낮음에도 낮은 골절률을 보인다.

 

체구에 의한 작은 뼈의 크기와 면적으로 전체적인 골밀도는 낮지만 뼈 자체는 구조적으로 치밀하고 탄탄하다는 것.


소중한 댓글 부탁드립니다. 기준 추천수 이상이 되면 아이콘을 가지게 됩니다.

김짤닷컴에서는 도배 및 무성의 댓글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를 어길시 무통보 7일 차단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84 문명/역사 미국 국무장관의 과거 new 재력이창의력 2025.02.08 51
15083 자연/생물 의외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는 동물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27
15082 우주/과학 이번 주 발표된 충격적인 2024년 반도체 기업 매출 순위 TOP10 new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8
15081 문명/역사 얄타 회담 80주년 관련 문서 공개 new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2
15080 사고/이슈 DOGE 직원, 인종차별 게시물로 사임 new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9
» 자연/생물 아시아인의 뼈가 의외로 튼튼함 new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6
15078 문명/역사 세계 최고령 여권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9
15077 일생/일화 안중근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건 아쉽다는 일본인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0
15076 우주/과학 서브선(subsun) 광학 현상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7
15075 문명/역사 통일 이후 나락간 독일 경제가 부흥한 이유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9
15074 미스테리/미재 스티븐호킹이 경고 하는것 new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7
15073 문명/역사 1968년 공군 레이다 기지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9
15072 자연/생물 해충을 멸종시킨 사례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7
15071 일생/일화 못생기게 태어나서 예뻐지는 케이스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4
15070 문명/역사 일본 그림책 수집가들 사이에서 레어템인 것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1
15069 문명/역사 청나라 시절 만들어진 예술품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9
15068 자연/생물 우즈베키스탄의 전통 만두 삼사 newfile 재력이창의력 2025.02.08 10
15067 일생/일화 머리카락이 말해주는 사람의 과거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316
15066 문명/역사 움짤로 보는 1982년 논산 훈련병들.... 3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298
15065 일생/일화 책 한 권으로 역사상 가장 많은 욕을 쳐먹은 학자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284
15064 일생/일화 오키나와 눈물나는 아리랑고개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243
15063 우주/과학 서브선(subsun) 광학 현상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250
15062 자연/생물 안중근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건 아쉽다는 일본인 2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227
15061 문명/역사 약 30년 전 발굴된, 대한민국 국보 중의 국보 중의 국보 1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266
15060 문명/역사 세계 최고령 여권 file 재력이창의력 2025.01.31 2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04 Next
/ 604